연예&쇼핑

안녕하세요, Nacho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유튜브 수익 구조에 대한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이번 글은 "음슴체"를 써서 작성하겠습니다.)

 

 

<1> 유튜브 수익, 억 소리 난다!!

 

1. 보람튜브 채널이 강남구 청담동 5층 건물을 95억원에 매입함.

 

2. 6살된 이보람 양의 월 수입은 30억

 

3. 보람 튜브 채널 구독자는 4,000만명 (국내 최다)

 

하지만 이건 극히 일부의 경우임.

대다수의 유튜버는 아무리 동영상을 올려도 소득이 0원임.

 

 

<2> 유튜버는 도대체 어떻게 돈을 버는 걸까?

 

우선, 유튜버의 선결 조건이 있음.

 

구독자가 1000명을 넘어야 하고,

연간 동영상 시청 시간이 4000시간 이상이어야 함.

 

구글은 이런 유튜버를 대상으로

자체 심사해 광고 & 후원 기능을 넣는

"유튜브 파트너"로 선정함.

 

심사를 통과한 유튜버의 동영상에는

앞뒤나 중간에 광고가 붙음.

<3> 유튜브 광고 종류 

1. 인스트림 광고 

동영상 시작 전,

동영상 중간,

동영상 끝에 나오는

 

5초 이상 시청 시 건너 뛰기(스킵) 가능한 광고.

유튜브 광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형태의 광고.

 

인스트림 광고의 과금 방식은 CPV (Cost per View)로 책정되며,

30초 이상 영상을 시청하거나

영상내 링크를 클릭할 경우에만

과금이 이루어짐.

 

만약 영상 길이가 30초가 안된다면,

영상을 끝까지 다봤을 경우

과금이 이루어짐.

 

일정 시간 영상을 시청할 경우

해당 영상의 조회수가 올라가고,

 

좌측 하단에 클릭유도문을 넣어

랜딩 페이지로 링크 연결도 가능함. 

 

PC 화면에서는 우측 상단에 컴패니언 배너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음.

 

2. 디스커버리 광고 

 

디스커버리 광고는 "추천 영상" 형태로 노출되는 광고를 말함.

"광고" 라는 노란 글씨가 붙은 영상.

 

과금 방식은 인스트림 광고와 동일하게

CPV (Cost per View)로 진행됨.

 

리스트에 노출 되는건 무료이고,

시청자가 해당 영상을 클릭할때 비용이 발생됨.

 

다만 차이가 있다면, 일반적인 다른 영상들을 시청하는 느낌과 똑같이

시청자에게 영상의 풀버전을 보여주는 형태기 때문에

시청 지속 시간이 길게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음.

 

또한 영상 재생이 해당 브랜드 채널로 이동한 후 시작되기 때문에

채널 내 다른 영상 시청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임.

 

<4> 광고 단가는 얼마? 

 

광고 단가는 제각각임.

 

예를 들어 '건너뛰기'가 불가능한 광고인 "범퍼 애드"의 단가는

CPM(1000회 노출당 가격) 3500원 정도임.

 

5초 후에 '건너뛰기'를 할 수 있는 "인스트림" 광고는

CPV(재생당 광고 단가)가 30원 정도임.

 

단, 인스트림 광고도 시청자가 5초 이후에도

몇 초 정도 더 봤을 때만 과금이 됨.

 

광고 금액은 유튜브 채널의 시청자 수, 동영상 수, 영상의 길이,

"좋아요" 수에 따라 달라짐.

 

동영상을 본 시청자들이 사는 지역도 광고 단가에 영향을 미침.

 

소득이 높은 북미 등 선진국 시청자가 많으면 광고 단가가 올라가고,

소득이 낮은 개발도상국 지역 시청자 비중이 높으면 내려감.

 

이렇게 확보한 광고 수익은 구글과 유튜버가 나눔.

배분 비율도 제각각이지만

보통 유튜버가 55%, 구글이 45% 가져감.

<5> 많이 버는 유튜버는 누구 누구? 

 

쯔양 (구독자 120만명) : 월 수익 6000만원 

 

철구형 (구독자 120만명) : 월 수익 3155만원

 

남순 (구독자 88만명) : 월 수익 2040만원

 

쌍둥이 루지 (구독자 356만명) :  월 수익 10억

 

서은 이야기 (구독자 394만명) : 월 수익 10억

 

 

아이들이 등장하는 유튜버의 광고 수익이 높은 편임.

동영상 내용이 자극적이지 않아 광고주들이 선호하기 때문.

 

협찬도 주요 수익원임.

TV 드라마, 영화의 간접 광고(PPL)처럼

기업에서 돈을 받아, 홍보함.

 

협찬 품목은 음식, 의류, 화장품, 자동차, 스마트폰 등 다양함.

 

협찬 수익은 100% 유튜버가 가져감.

동영상에 협찬 포함이라는 문구만 넣으며 됨. 

 

광고보다 협찬 수익이 훨씬 더 많은 유튜버도 있음.

 

유튜버의 인지도나 협찬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건당 수천만원짜리 협찬도 많다고 함.

 

<6> 슈퍼챗은 뭐야?

시청자가 좋아하는 유튜버에게 직접 후원금을 주는 것을 말함.

최소 1000원부터 최대 50만원까지임.

아프리카TV의 "별풍선"과 비슷한 거라고 보면 됨.

 

수퍼챗의 수익은 구글이 30%,

유튜버가 70%를 가져감.

 

어떤 유튜버들은 후원 계좌를 알려주면서,

후원해 달라고 함.

 

 

But, 대다수 유튜버의 월 수익은 0원~ 10만원 임.

유튜브로만 생계를 하는 유튜버는 상위 1% 밖에 없음.

구독자가 16만명에 달하는 "개리형"은

"구독자가 3만명일 땐 월 광고 수익이 100만원이었다고 함. 

 

개리형보다 구독자가 적은 유튜버들의 월 수익은

많아봤자 "10 만원" 정도 밖에 안됨.

 

한 달 내내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고, 10만원을 버는 것임.

 

<7> 유튜브 세금 & 허위, 과장 광고

유튜브 광고 수익은

구글의 싱가포르 지사에서 한국 유튜버 계좌에

달러로 직접 송금하는 구조임.

 

유튜버가 직접 신고하지 않으면 소득으로 잡히지 않음.

 

먹방 유튜버 "밴쯔"는 자신이 판매하는 식품에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다고 홍보했지만,

허위, 과장 광고로 기소됨.

<8> 해외 유튜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구독자(기업, 연예인 제외)를 가진

일반인 유튜버는 "퓨디파이" 임.

 

PewDiePie

본명 : 펠릭스 셸버그 (게임 영상 제작자)

스웨덴 출신

 

주로 공포, 액션 게임을 직접 놀아보면서

신랄하게 평가하는 동영상으로 인기를 얻음.

 

2010년 시작한 퓨디 파이 채널의 구독자 수는

9804만명 : 저스틴 비버 (구독자 4592만명)의 2배

 

이 채널에 있는 동영상 3902개의 조회 수(누적)는

223억7634만회.

 

퓨디 파이의 한 달 수익은 23억 5500만원

 

 

그 다음으로 잘나가는 개인 유튜브 채널은

미국 고등학교 농구선수 출신 5인조가 만드는

 

듀드 퍼펙트 Dude Perfect (구독자 수 4388만명)

209개 동영상의 조회 수는 84억회

 

수영장에 있는 풍선을 활로 쏘아 터뜨리기,

카트를 타고 질주하기와 같은 스포츠 챌린지(도전) 영상이 인기있음.

 

이 채널의 한 달 수익은 20억

 

헉!!!!

 

Really?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